[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에는 중괄호처럼 Texinfo에서 특별한 뜻을 가진 문자와, 타이프 할 수 있는 단순 문자에 해당하지 않는 그래픽 문자를 쓰는 명령이 몇개 있다.
13.1 Inserting @ and Braces | How to insert braces, ‘@’. | |
13.2 Inserting Space | How to insert the right amount of space within a sentence. | |
13.3 Inserting Accents | How to insert accents and special characters. | |
13.4 Inserting Ellipsis, Dots, and Bullets | How to insert dots and bullets. | |
13.5 Inserting TeX and the Copyright Symbol | How to insert the TeX logo and the copyright symbol. | |
13.6 @pounds {} (£): Pounds Sterling | How to insert the pounds currency symbol. | |
13.7 @minus {} (-): Inserting a Minus Sign | How to insert a minus sign. | |
13.8 @math : Inserting Mathematical Expressions | How to format a mathematical expression. | |
13.9 Glyphs for Examples | How to indicate results of evaluation, expansion of macros, errors, etc. | |
13.10 Inserting Images | How to include graphics.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와 중괄호는 Texinfo에서 특수 문자이다. 이 문자를 텍스트에서 나타나도록 문자를 넣으려면, ‘@’를 이 문자 앞에 놓아서 Texinfo가 잘못 이해하지 않도록 한다.
이렁 명령들 다음에 중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필요없다.
13.1.1 Inserting ‘@’ with @@ | How to insert ‘@’. | |
13.1.2 Inserting ‘{’ and ‘}’with @{ and @} | How to insert ‘{’ and ‘}’.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
는 인쇄물이나 Info 출력 모두에서 한개의 ‘@’를 나타낸다.
@
명령 다음에 중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
는 한개의 인쇄물이나 Info 출력 모두에서 ‘{’를 뜻한다.
@}
는 한개의 인쇄물이나 Info 출력 모두에서 ‘{’를 뜻한다.
@{
나 @}
다음에 중괄호를 넣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다음 절은 문장 중간이나 끝날대 어ㄸㅎ게 여러가지 종류의 공백을 조정하는 명령들을 설명한다.
13.2.1 Not Ending a Sentence | Sometimes a . doesn’t end a sentence. | |
13.2.2 Ending a Sentence | Sometimes it does. | |
13.2.3 Multiple Spaces | Inserting multiple spaces. | |
13.2.4 @dmn {dimension}: Format a Dimension | How to format a dimension.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마침표나 느낌표, 혹은 물음표가 문장의 안에 있느냐, 끝에 있느냐에 따라서 typeset 매뉴얼에서 점 다음에 삽입되는 공백의 크기가 더 작아지거나 더 커진다. Texinfo는 마침표가 문장을 끝내는 때와 약자에 사용하는 때를 언제나 알 수는 없기 때문에, 몇몇 상황에서는 툭별히 명령어가 필요하다. (보통의 경우, 점을 어떻게 처리할지 추측할 수 있기 때문에, 이 특별한 명령어들을 알 필요가 없다; 타자기를 사용해 본적이 있다면 하려는 대로 마침표를 넣는다. 즉 마침표, 물음표, 혹은 느낌표 다음에 두칸의 공백을 띄우면 그것은 문장을 끝내는 것이다.)
@:
명령을 공백이 그 뒤로 더 나오면 안 되는 곳에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혹은 콜론 다음에 쓴다. 예를 들어, @:
를 약자를
끝내고 문장을 끝내는 게 아닌 마침표 다음에 쓴다.
예를 들어,
The s.o.p.@: has three parts … The s.o.p. has three parts … |
The s.o.p. has three parts …
The s.o.p. has three parts …
(덧붙여 말하면, ‘s.o.p.’는 “Standard Operating Procedure”의 약자이다.)
@:
는 Info 출력에서는 아무 효과가 없다. @:
다음에
중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한개의 대문자로 끝나는 문장의 끝에는, 마침표 대신에 @.
를 쓰고,
느낌표 다음에 @!
를스고, 그리고 물음표 다음에 @?
를 쓴다.
그렇지 않으면, TeX은 그 글자가 약자인 줄 알고, 문장의 끝에
들어가야 할 공백을 넣지 않을 것이다. 다음은 그 예이다:
Give it to M.I.B. and to M.E.W@. Also, give it to R.J.C@. Give it to M.I.B. and to M.E.W. Also, give it to R.J.C. |
Give it to M.I.B. and to M.E.W. Also, give it to R.J.C.
Give it to M.I.B. and to M.E.W. Also, give it to R.J.C.
Info 파일 출력에서, @.
은 한개의 ‘.’와 동일하다;
@!
와 @?
로 마찬가지이다.
Texinfo의 @:
와 @.
은 Emacs의 sentence motion 명령과 함께
잘 동작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see (emacs)Sentences section ‘Sentences’ in The GNU Emacs Manual). 이 기능은 @-명령어를 사용하는 다른 포맷팅 시스템과 비호환일
때 필요하다.
이 명령에는 중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보통 TeX은 여러개의 공백 문자(공백, 탭, 새줄)을 한개의 공백으로 만든다. 반면, Info 출력에서는 새줄이 고액으로 바뀌는 걸 제외하면 타이프한 대로 공백을 유지한다; 이것이 Texinfo 문서에서 문장의 끝에 두개의 공백을 넣는 것이 중요한 이유이다.
가끔, 예제를 쓰기 위해서나 (프로그램이 여러개의 공백문자를 입력으로 받는
예), 또는 머리말이나 리스트의 모양을 바꾸기 위해 진짜로 여러개의 연속된
공백을 넣고 싶을 때가 있다. Texinfo는 세개의 명령을 지원한다:
@SPACE
, @TAB
, 그리고 @NL
이다.
이 모두 한개의 공백문자를 출력에 집어 넣는다. (여기에서
@SPACE
는 ‘@’ 문자 다음에 공백 문자를 넣는 것이다, 즉
‘@ ’, 그리고 TAB과 NL은 탭 문자와 줄의 끝을 나타낸다.
즉 ‘@’가 줄의 맨 마지막 문자이다.
예를 들어,
Spacey@ @ @ @ example. |
는 다음을 만든다.
Spacey example. |
다른 목적으로 @SPACE
를 쓰는 것은 @multitable
에
포함하는 것이다 (see section Multi-column Tables).
이 명령에는 중괄호를 붙이지 않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dmn
{dimension}: Format a Dimension가끔, ‘12pt’ 혹은 ‘8.5in’을 숫자와 단위 사이에
공백이 없거나, 거의 없도록 하고 싶을 수도 있다. 이럴 때 @dmn
명령을 쓴다. 이 명령이 보이면, TeX은 적당한 typesetting에 맞는
공백을 넣는다; Info 파일에서는 공백이 필요없기 때문에, Info formatting
명령은 전혀 공백을 넣지 않는다.
@dmn
명령을 쓸 때, 숫자를 쓰고, 중간에 공백을 넣지 말고 바로
@dmn
을 쓴다. 그리고 중괄호 안에 단위를 쓴다. 예를 들어,
A4 paper is 8.27@dmn{in} wide. |
은 다음을 만든다.
A4 paper is 8.27in wide.
모든 사람들이 이 스타일을 쓰진 않는다. 어떤 사람들은 Texinfo 파일에서
‘8.27 in.@:’이나 ‘8.27 inches’를 쓰기를
‘8.27@dmn{in}’보다 더 좋아한다. 하지만, 이런 경우 포맷터는
숫자와 단위 사이에 줄을바꿀 수 있으므로, @w
를 사용한다
(see section @w
{text}: Prevent Line Breaks). 또, 문장 중간에 약자 다음에 마침표를 찍을 때, 여기의
예처럼 점 다음에 ‘@:’을 써서 TeX이 공백을 더 넣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See section Inserting Space.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다음은 문자의 Texinfo에서 위에 붙는 액센트를 넣을 때 쓰는 명령어의
표이다. 알파벳이 아닌 이름으로 된 명령은 인수 주위에 중괄호로 묶지
않는다 (인수는 다음 문자이다). (예외: @,
는 인수를 중괄호 속에
넣는다.) 이것은 되도록 소스를 타이프하기 좋고 읽기 쉽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왜냐하면 어떤 언어에서는 액센트가 있는 문자는 아주 흔하기
때문이다.
Command | Output | What |
@"o | ö | umlaut accent |
@’o | ó | acute accent |
@,{c} | ç | cedilla accent |
@=o | ō | macron/overbar accent |
@^o | ô | circumflex accent |
@‘o | ò | grave accent |
@~o | õ | tilde accent |
@dotaccent{o} | ȯ | overdot accent |
@H{o} | ő | long Hungarian umlaut |
@ringaccent{o} | o* | ring accent |
@tieaccent{oo} | oo[ | tie-after accent |
@u{o} | ŏ | breve accent |
@ubaraccent{o} | o_ | underbar accent |
@udotaccent{o} | ọ | underdot accent |
@v{o} | o< | hacek or check accent |
다음 테이블은 영어 외의 언어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다른 여러가지 문자를 쓰는 Texinfo 명령을 열거한다.
@exclamdown{} | ¡ | upside-down ! |
@questiondown{} | ¿ | upside-down ? |
@aa{},@AA{} | å,Å | A,a with circle |
@ae{},@AE{} | æ,Æ | ae,AE ligatures |
@dotless{i} | i | dotless i |
@dotless{j} | j | dotless j |
@l{},@L{} | ł,Ł | suppressed-L,l |
@o{},@O{} | ø,Ø | O,o with slash |
@oe{},@OE{} | œ,Œ | OE,oe ligatures |
@ss{} | ß | es-zet or sharp S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말줄임표(점선)는 마치표의 연속으로 typeset되지 않기 때문에,
Texinfo에서는 특별한 명령이 말줄임표에 쓰인다. @bullet
명령도
특별하다. 이들 명령은 각각 중괄호의 짝(‘{}’)이 명령어 이름과
중괄호 사이에 공백이 없이 따라 나온다. (명령어를 다른 텍스트 바로 옆에
쓸 수 있기 때문에 중괄호를 같이 붙여야 한다; 중괄호가 없으면,
formatter가 혼동할 것이다. See section @-Command Syntax, for further information.)
13.4.1 @dots {} (…) | How to insert dots … | |
13.4.2 @bullet {} (•) | How to insert a bullet.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dots
{} (…)@dots{}
명령은 말줄임표를 만드는 데 쓴다. 말줄임표는 다음과
같이 연속된 세개의 점이고, 점 사이에 적당히 공백이 있다: ‘…’.
입력 파일에서 세개의 점을 찍지 말라; 그렇게 하면 Info 파일 출력에서는 잘
동작하겠지만, 인쇄된 매뉴얼의 경우 점들 사이의 공백 크기가 잘못 나올
것이다.
비슷하게, @enddots{}
명령은 문장의 끝에 말줄임표 (네개의 점)을
넣는다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bullet
{} (•)@bullet{}
명령은 크고 둥근 점이나, 이것에 가능한 가장 가까운
것을 만든다. Info에서는, 별표가 쓰인다.
다음이 bullet이다: •
@bullet
을 @itemize
안에서 쓰면, 중괄호는
@itemize
가 제공해 주기 때문에 쓸 필요가 없다.
(See section @itemize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 로고는 독특한 모양으로 typeset되기 때문에 @-명령어가 필요하다. 저작권 심볼 ‘©’도 또 독특하다. 이들 명령은 중괄호쌍 ‘{}’을 명령어 이름과 중괄호 사이에 공백 없이 뒤에 써야 한다.
13.5.1 @TeX {} (TeX) | How to insert the TeX logo. | |
13.5.2 @copyright {} (©) | How to use @copyright {}.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
{} (TeX)@TeX{}
명령이 ‘TeX’을 만든다. 인쇄된 매뉴얼의 경우, 보통
글자와는 다른 독특한 로고이다. Info에서는, 이건 단지 ‘TeX’과 같이
보인다. @TeX{}
명령은 유일하게 T와 X가 대문자인
Texinfo 명령이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copyright
{} (©)@cpyright{}
명령은 ‘©’를 만든다. 인쇄된 매뉴얼의
경우, 이것은 원 안에 ‘c’가 들어 있는 것이고, Info에서는
‘(C)’이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pounds
{} (£): Pounds Sterling@pounds{}
명령은 ‘£’ 명령을 만든다. 인쇄된 매뉴얼의
경우, 파운드(pound) 통화의 표준 심볼이다. Info에서는, ‘#’이다.
다른 통화 심볼은 불행히도 쓸 수 없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minus
{} (-): Inserting a Minus Sign@minus{}
명령은 빼기 기호를 만든다. 고정폭 폰트에서, 이것은
한개의 가로줄이지만, 가변 폰트에서, 이 심볼은 빼기 기호만큼 길이의
심볼이다—하이픈 보다 조금 길고, em-dash보다 조금 짧다.
‘-’는 ‘@minus{}’로 만드는 빼기 기호이고, ‘-’는 ‘-’ 문자로 만드는 하이픈, ‘—’은 텍스트에 쓰이는 em-dash이다. |
Info에서 쓰이는 고정폭 폰트에서, @minus{}
는 하이픈과 같다.
@minus{}
를 @code
나 @example
안에 쓰면 안 된다.
왜냐하면 여기서 쓰이는 고정폭 폰트에서는 폭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minus
를 번호 없는 리스트의 각 항목을 mark하는 데 쓰려면,
중괄호를 할 필요가 없다 (see section @itemize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math
: Inserting Mathematical Expressions간단한 수학식은 @math
명령으로 쓴다. 수학식은 다음과 같이
중괄호 사이에 쓴다:
@math{(a + b)(a + b) = a^2 + 2ab + b^2} |
(a + b)(a + b) = a^2 + 2ab + b^2 |
즉, @math
명령은 Info 출력에는 아무 효과가 없다.
복잡한 수학식의 경우에, TeX을 직접 쓸 수도 있다 (see section Raw Formatter Commands). TeX을 직접 쓸 때, 수학 식을 적절히 한개나 두개의 ‘$’(달러 표시) 사이에 쓴다는 것을 기억하라.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exinfo에서, code는 @example
과 @end example
나,
@lisp
와 @end lisp
명령 사이에 쓰여지는 예제 안에
쓰인다. 이러한 예제에서, 계산이나, expansion의 결과는
‘⇒’나 ‘→’을 써서 나타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인쇄물에서 애러메세지, 식의 동일함, 그리고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내는 그림문자를 쓰는 명령들이 있다.
그림 문자를 쓰는 명령은 예제에서 쓸 필요는 없지만, 가장 많이 쓰인다. 모든 그림 문자를 쓰는 명령은 왼쪽, 그리고 오른쪽 중괄호의 짝이 그 다음에 나온다.
• Glyphs Summary | ||
13.9.1 @result{} (⇒): Indicating Evaluation | How to show the result of expression. | |
13.9.2 @expansion{} (→): Indicating an Expansion | How to indicate an expansion. | |
13.9.3 @print{} (-|): Indicating Printed Output | How to indicate printed output. | |
13.9.4 @error{} (error-->): Indicating an Error Message | How to indicate an error message. | |
13.9.5 @equiv{} (≡): Indicating Equivalence | How to indicate equivalence. | |
13.9.6 @point{} (∗): Indicating Point in a Buffer | How to indicate the location of point. |
@result{}
는 식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expansion{}
은 매크로 expansion의 결과를 보여준다.
@print{}
는 인쇄물을 나타낸다.
@error{}
는 다음 텍스트가 애러 메세지임을 나타낸다.
@equiv{}
는 두 식이 정확히 동일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point{}
는 포인트의 위치를 나타낸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result{}
(⇒): Indicating Evaluation@result
를 사용하여 식의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즉, 다음은,
(cdr '(1 2 3)) ⇒ (2 3) |
“(car '(1 2 3))
은 (2 3)
으로 계산된다”고 읽는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expansion{}
(→): Indicating an Expansion어떤 식이 매크로일때, 그 매크로는 새로운 식으로 expand한다. expansion의
결과는 @expansion{}
명령으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다음
@lisp (third '(a b c)) @expansion{} (car (cdr (cdr '(a b c)))) @result{} c @end lisp |
는 다음을 만든다.
(third '(a b c)) → (car (cdr (cdr '(a b c)))) ⇒ c |
이것은 다음과 같이 읽을 수 있다:
(third '(a b c))
는(car (car (car '(a b c))))
로 expand된다; 계산한 결과는c
이다.
이 예와 같이, 대부분의 경우 예제는 @expansion{}
과
@result{}
명령이 다섯 칸 들여 쓰였을 때 더 잘 보인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print{}
(-|): Indicating Printed Output어떤 식이 실행중에 출력을 낼 때도 있다. 이 출력은 @print{}
명령으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 예에서, 출력되는 텍스트는 ‘-|’로 표시되고, 식의 값은 마지막 줄에 따라 나온다.
(progn (print 'foo) (print 'bar)) -| foo -| bar ⇒ bar |
Texinfo 소스 파일에서, 이 예는 다음과 같이 쓰인다:
@lisp (progn (print 'foo) (print 'bar)) @print{} foo @print{} bar @result{} bar @end lisp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error{}
(error-->): Indicating an Error Message코드의 일부분이 계산했을때 애러를 낼 수도 있다. 이 애러 메세지는
@error{}
명령으로 가리킬 수 있다.
즉,
@lisp (+ 23 'x) @error{} Wrong type argument: integer-or-marker-p, x @end lisp |
은 다음을 만든다.
(+ 23 'x) error--> Wrong type argument: integer-or-marker-p, x |
이것은 이 식을 계산 했을 때 다음 애러 메세지를 출력한다는 것을 뜻한다:
Wrong type argument: integer-or-marker-p, x |
‘error-->’ 자체는 애러 메세지의 일부가 아니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equiv{}
(≡): Indicating Equivalence두개의 식이 같은 결과를 낼 때가 있다. 이렇게 두 식이 정확히 같은 경우
@equiv{}
명령으로 나타낸다.
즉,
@lisp (make-sparse-keymap) @equiv{} (list 'keymap) @end lisp |
은 다음을 만든다.
(make-sparse-keymap) ≡ (list 'keymap) |
이것은 (make-sparse-keymap)
을 계산하면 (list 'keymap)
을
계산한 결과와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point{}
(∗): Indicating Point in a BufferEmacs buffer 내의 텍스트의 예를 보여주고 싶을 때가 있다. 이런 예의 경우에, 전통적인 방법은 보여줄 전체 buffer의 내용을 buffer 이름이 적혀 있는 두개의 dash 줄 사이에 포함시키는 것이다.
‘@point{}’ 명령은 point의 buffer내의 텍스트에서 위치를 보여주는 데 쓰인다. (point의 심볼은 물론, buffer의 텍스트의 일부가 아니다; 이것은 point가 위치한 두 문자 사이의 위치를 나타낸다.)
다음 예는 changed
를 넣는 Lisp 명령을 계산한 전후의 ‘foo’
buffr의 내용을 보여준다.
---------- Buffer: foo ---------- This is the ∗contents of foo. ---------- Buffer: foo ---------- |
(insert "changed ") ⇒ nil ---------- Buffer: foo ---------- This is the changed ∗contents of foo. ---------- Buffer: foo ---------- |
Texinfo 소스 파일에서, 이 예는 다음과 같이 쓴다:
@example ---------- Buffer: foo ---------- This is the @point{}contents of foo. ---------- Buffer: foo ---------- (insert "changed ") @result{} nil ---------- Buffer: foo ---------- This is the changed @point{}contents of foo. ---------- Buffer: foo ---------- @end example |
[ < ] | [ > ] | [ << ] | [ Up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외부의 파일에 들어 있는 그림을 @image
명령으로 집어 넣을 수
있다.
@image{filename, [width], [height]} |
filename 인수는 꼭 필요하지만, 확장자를 넣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다른 처리기는 각각 다른 형식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TeX은
‘filename.eps’를 읽는다 (Encapsulated PostScript format);
makeinfo
는 ‘filename.txt’를 그대로 Info 출력으로
사용한다 (@example
인 것처럼). HTML 출력은
‘filename.jpg’가 필요하다.
추가로 width와 height 인수를 넣으면 그림을 조절할 크기를 지정한다 (Info 출력에서는 무시된다). 이 두개가 모두 지정된 경우, 그림은 보통 크기 (파일에 주어진대로) 표시한다; 한가지가 지정되면, 다른 하나는 거기에 비례되어 조절된다; 두개 모두 지정된 경우에, 두개 모두 조절된다. 즉, 원래 그림의 가로 세로 비를 바꿔서 일그러 뜨릴 수도 있다.
width와 height는 어떤 TeX 단위든지 쓰면 지정할 수 있다, 즉:
point (72.27pt = 1in)
pica (1pc = 12pt)
big point (72bp = 1in)
inch
centimeter (2.54cm = 1in)
millimeter (10mm = 1cm)
didôt point (1157dd = 1238pt)
cicero (1cc = 12dd)
scaled point (65536sp = 1pt)
예를 들어, 다음은 ‘ridt.eps’의 세로를 일인치로 하고, 폭을 거기에 비례적으로 저절한다:
@image{ridt,,1in} |
@image
가 TeX에서 동작하려면, ‘epsf.tex’ 파일이 TeX이 찾을
수 있는 곳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 파일은 Texinfo 배포본에 포함되어
있고, ftp://ftp.tug.org/tex/epsf.tex에서 얻을 수 있다.
[ << ] | [ >> ] | [Top] | [Contents] | [Index] | [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February 7, 2019 using texi2html 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