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 Format and Print Hardcopy

Texinfo 파일에서 인쇄된 매뉴얼을 만들어 내는 데는 세개의 주요 셸 명령이 잇다: 하나는 Texinfo 파일을 인쇄될 파일로 변환하는 명령, 두번째는 색인을 정렬(sort)하는 명령, 그리고 세번째는 그 포맷된 파일을 인쇄하는 명령이다. 셸 명령을 사용할 때, 직접 운영 체제의 셸 에서 쓸 수도 있고, GNU Emacs 내의 셸로 쓸 수도 있다.

GNU Emacs를 사용한다면, 셸 명령 대신에 Texinfo 모드의 명령을 쓸 수도 있다. 파일을 포맷하는 명령, 색인을 정렬(sort)하는 명령, 그리고 결과를 인쇄하는 명령의 세개의 명령 이외에, Texinfo 모드는 출력 버퍼(buffer)를 다시 가운데로 놓고, 인쇄 큐(print queue)를 보여주고, 그리고 인쇄 큐(print queue)에서 인쇄물을 지워 내는 키 바인딩(binding)이 있다.

TeX이라고 하는 조판(typesetting) 프로그램은 Texinfo 파일을 포맷하는 데 쓰인다. TeX은 매우 강력한 조판(typesetting) 프로그램이고, 제대로만 사용된다면 유난히 훌륭한 일들을 해 낸다. (TeX을 구하는 법에 관한 정보는 See section How to Obtain TeX.)

The makeinfo, texinfo-format-region, 그리고 texinfo-format-buffer 명령은 Texinfo 파일에서 TeX을 쓸 때와 완전히 같은 @-명령을 읽는다. 하지만, 다른 방법으로 처리해 Info 파일을 만들어 낸다; Creating an Info File.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1 Format using tex and texindex

Texinfo 파일은 tex 명령 다음에 Texinfo 파일을 쓰는 셸 명령으로 포맷한다. 예를 들어:

 
tex foo.texi

TeX은 DVI 파일과 색인, 상호 참조등의 정보가 들어 있는 몇가지 보조 파일들을 만들어 낸다. DVI 파일(DeVice Independent 파일을 뜻하는)은 이론적으로 어떤 프린터에서든지 인쇄할 수 있다 (다음 절을 보라).

tex 포매팅 명령 자기 자신은 색인을 정렬(sort)하지 않는다; tex은 정렬되지 않은 색인 데이타를 파일로 출력한다. (texi2dvi 명령은 자동으로 색인을 만들어 낸다; Format using texi2dvi.) 인쇄된 색인을 tex 명령 이후에 만들어 내려면, 첫번째로 정렬(sort)된 색인이 필요하다. texindex 명령이 색인을 정렬(sort)한다. (소스 파일인 ‘texindex.c’는 기본 Texinfo 배포판의 일부로 들어 있다.)

tex 포매팅 명령은 정렬(sort)되지 않은 색인 파일을 표준 관습에 따른 파일이름을 써서 출력한다: 주요 입력 파일의 ‘.tex’ 확장자(또는 그와 비슷한 확장자 see (web2c)tex invocation section ‘tex invocation’ in Web2c)는 없어지고, 그 뒤에 색인의 두글자 이름이 온다. 예를 들어, ‘foo.texinfo’ 입력 파일의 정렬되지 않은 색인 출력 파일은 ‘foo.cp’, ‘foo.vr’, ‘foo.fn’, ‘foo.tp’, ‘foo.pg’ 그리고 ‘foo.ky’가 된다. 이것들은 texindex에 주어지는 인자(argument)로 사용한다.

정렬되지 않은 색인 파일 모두에 대해서 직접 파일 이름을 지정하는 것 대신 다음과 같이 셸 와일드카드(wildcard) ‘??’를 써서 명령어를 쓸 수 있다:

 
texindex foo.??

이 명령은 @defindex@defcodeindex를 써서 직접 정의한 색인까지 포함해서 모든 정렬되지 않은 색인 파일에 대해서 texindex를 실행할 것이다. (‘foo.el’과 같이 두글자의 확장자를 가진 색인이 아닌 파일이 있다고 해도 ‘texindex foo.??’를 실행해도 상관없다. texinex 명령은 잘못을 말해주겠지만, 한편으로는 그러한 파일은 무시한다.)

지정된 각 파일에 대해, texindex는 입력 파일이름에 ‘s’를 뒤에 붙인 정렬(sort)된 색인 파일을 만든다. @printindex 명령은 그러한 이름의 파일을 찾을 줄 안다 (see section Index Menus and Printing an Index). texindex는 정렬되지 않은 색인 파일을 수정하지 않는다.

색인을 정렬한 뒤에, 다시 tex 포매팅 명령을 Texinfo 파일에 대해 실행해야 한다. 이렇게 하면 최신의 색인 항목을 갖고 DVI 파일을 만든다.

마지막으로 한번 더 tex을 실행해서 올바른 상호 참조 쪽수를 알아내야 한다.

요약하면, 네 단계로 이루어진다:

  1. Texinfo 파일에 대해 tex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DVI 파일(상호 참조가 정의되지 않았고, 색인이 없는)을 만들고, 정렬되지 않은 색인 파일(두 글자의 확장자를 가진)을 만든다.
  2. texindex를 정렬되지 않은 색인 파일에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각각의 정렬된 색인 파일(세 글자의 확장자를 가진)을 만든다.
  3. tex을 Texinfo 파일에 대해 다시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이번에는 색인과 상호 참조가 있는 DVI 파일을 만든다. 하지만 이 상호 참조의 쪽 번호는 맨 처음에 실행했을 때의 쪽 번호이고, 일반적으로 잘못되어 있다.
  4. tex을 마지막으로 실행한다. 이번에는 상호 참조에 대해 올바른 쪽 번호가 생긴다.

다른 방법으ㄹ, 단번에 하는 방법이 있다: texi2dvi를 실행한다.

tex을 실행한 다음에 매번 texindex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실행하지 않는다면, 다음에 tex을 실행할 때 앞에서 texindex를 써서 만들어 낸 정렬된 색인을 사용한다. 버그를 찾아 낼때는 보통 이렇게 해도 상관없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2 Format using texi2dvi

texi2dvi 명령은 자동으로 textexindex를 최신의 정렬된 색인이 들어 있는 DVI 파일을 만드는 데 필요한 만큼 실행하는 셸 스크립트이다. 이 명령은 앞의 절에서 설명한 textexindextex의 단계를 간단하게 해 준다.

texi2dvi의 문법은 다음과 같다 (‘prompt$’는 셸 프롬프트이다).

 
prompt$ texi2dvi filename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3 Shell Print Using lpr -d

DVI 파일을 인쇄하는 정확한 명령은 시스템이 어떻게 설치되어 있는 가에 달렸다. 하지만, ‘lpr -d’가 보통이다. 이 명령은 확장자를 빼거나, ‘.dvi’ 확장자를 가진 DVI 파일의 이름이 필요하다. (‘lpr’이라면, ‘.dvi’를 포함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다음 명령은 Bison Manual의 (아마도) 색인을 정렬(sort)하고, 포맷하고, 그리고 인쇄하는 데 충분하다.

 
tex bison.texinfo
texindex bison.??
tex bison.texinfo
lpr -d bison.dvi

(셸 명령은 어느 시스템을 쓰느냐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기억하라; 하지만 이것은 보통 사용되는 버전이다.)

texi2dvi 셸 스크립트를 사용하면, 간단히 다음을 타이프하면 된다:

 
texi2dvi bison.texinfo
lpr -d bison.dvi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4 From an Emacs Shell

GNU Emacs 내의 셸 에서 포매팅 명령과 인쇄 명령을 쓸 수 있다. Emacs 내에 셸을 실행하려면, M-x shell을 타이프한다. 이 셸에서, 문서를 포맷하고 인쇄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See section Format and Print Hardcopy.

tex이 실행되는 동안 셸 버퍼(buffer)에서 빠져나오거나 들어갈 수 있다. 만약 느린 컴퓨터에서 긴 문서를 포매팅하고 있다면, 이러한 기능은 매우 유용할 것이다.

Emacs 셸에서 texi2dvi를 쓸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음은 Emacs 내의 셀에서 texi2dvi를 써서 Using and Porting GNU CC를 포맷하고 인쇄하는 방법이다.

 
texi2dvi gcc.texinfo
lpr -d gcc.dvi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5 Formatting and Printing in Texinfo Mode

Texinfo 모드는 TeX 포매팅과 인쇄를 하는 키 명령을 몇가지 미리 정의해 두었다. 이 명령들에는 색인을 정렬(sort)하고, 인쇄 큐(print queue)를 확인하고, 포매팅을 중단시키고, 그리고 어떤 동작이 일어나는 버퍼(buffer)의 표시를 다시 가운데로 맞추는 명령들이 있다.

C-c C-t C-b
M-x texinfo-tex-buffer

현재 버퍼(buffer)에 대해 texi2dvi를 실행한다.

C-c C-t C-r
M-x texinfo-tex-region

현재 리전(region)에 대해 TeX을 실행한다.

C-c C-t C-i
M-x texinfo-texindex

texinfo-tex-region으로 포맷된 Texinfo 파일의 색인을 정렬(sort)한다.

C-c C-t C-p
M-x texinfo-tex-print

texinfo-tex-region이나 texinfo-tex-buffer로 만들어진 DVI 파일을 인쇄한다.

C-c C-t C-q
M-x tex-show-print-queue

인쇄 큐(print queue)를 보여준다.

C-c C-t C-d
M-x texinfo-delete-from-print-queue

인쇄 큐(print queue)에서 인쇄물을 지운다; C-c C-t C-q 명령(texinfo-show-tex-print-queue)으로 보여진 인쇄물 번호를 물어볼 것이다.

C-c C-t C-k
M-x tex-kill-job

texinfo-tex-region이나 texinfo-tex-buffer로 시작한 TeX 작업, 혹은 Texinfo 셸 버퍼(buffer)에서 실행된 어떤 프로세스든지 중단 시킨다.

C-c C-t C-x
M-x texinfo-quit-job

애러때문에 중단된 TeX 포맷팅 작업을 <x>를 보내서 중단시킨다. 이렇게 하면, TeX은 무엇을 했는지에 대한 기록을 ‘.log’ 파일에 남긴다.

C-c C-t C-l
M-x tex-recenter-output-buffer

TeX 인쇄와 포매팅 명령이 실행되고 있는 셸 버퍼(buffer)를 가장 최근의 출력이 보이도록 다시 표시한다.

즉, 버퍼(buffer)를 포매팅하는 명령의 보통 단계는 다음과 같다 (오른쪽에는 주석이 있다):

 
C-c C-t C-b             버퍼(buffer)에 대해 texi2dvi를 실행한다.
C-c C-t C-p             DVI 파일을 인쇄한다.
C-c C-t C-q             인쇄 큐(print queue)를 보여준다.

Texinfo 모드의 TeX 포매팅 명령은 Emacs에서 ‘*tex-shell*’이라는 셸을 실행시킨다. texinfo-tex-command, texinfo-texindex-command, 그리고 tex-dvi-print-command 명령은 모두 이 셸 안에서 실행된다.

*tex-shell*’ 버퍼(buffer)에서 실행되는 명령을 볼 수 있고, 다른 셸 버퍼(buffer)와 마찬가지로 ‘*tex-shell*’ 버퍼로 들어갔다가 나오거나 이용할 수 있다.

포매팅과 인쇄 명령은 몇가지 변수의 값에 따라 결정된다. 기본 값은:

 
     변수                              기본값

texinfo-texi2dvi-command                  "texi2dvi"
texinfo-tex-command                       "tex"
texinfo-texindex-command                  "texindex"
texinfo-delete-from-print-queue-command   "lprm"
texinfo-tex-trailer                       "@bye"
tex-start-of-header                       "%**start"
tex-end-of-header                         "%**end"
tex-dvi-print-command                     "lpr -d"
tex-show-queue-command                    "lpq"

이 변수의 값은 M-x edit-options 명령 (see (emacs)Edit Options section ‘Editing Variable Values’ in The GNU Emacs Manual), M-x set-variable 명령 (see (emacs)Examining section ‘Examining and Setting Variables’ in The GNU Emacs Manual), 또는 ‘.emacs’ 초기화 파일로 (see (emacs)Init File section ‘Init File’ in The GNU Emacs Manual) 바꿀 수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6 Using the Local Variables List

Texinfo 파일에 TeX 포매팅 명령을 실해하는 또다른 방법은 명령어를 Texinfo 파일의 끝에 있는 local variables list에 넣는 것이다. tex이나 texi2dvi 명령을 compile-command로 지정하면 Emacs에서 M-x compile을 타이프해서 그 명령을 실행한다. 이렇게 하면 ‘*compilation*’ 버퍼(buffer) 이라는 특별한 셸을 만들어 내고, 이 버퍼(buffer) 안에서 Emacs가 컴파일 명령을 실행한다. 예를 드ㄹ어, ‘gdb.texinfo’ 파일의 끝에 @bye 뒤에 다음을 넣을 수 있다.

 
Local Variables:
compile-command: "texi2dvi gdb.texinfo"
End:

이 테크닉은 프로그램을 이런 방법으로 컴파일하는 프로그래머가 주로 사용하는 방법이다; (emacs)Compilation section ‘Compilation’ in The GNU Emacs Manual.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7 TeX Formatting Requirements Summary

TeX의 입력이 되는 모든 Texinfo 파일은 \input 명령으로 시작하고, @setfilename 명령이 들어 있어야 한다.

 
\input texinfo
@setfilename arg-not-used-by-TeX

첫번째 명령은 TeX이 Texinfo 파일을 처리하는 데 필요한 매크로를 읽어들이도록 하고, 두번째 명령은 보조 파일을 연다.

모든 Texinfo 파일은 TeX의 실행을 중단시키고, 그 뒤부분을 무시하도록 하는 다음과 같은 줄로 끝나야 한다:

 
@bye

엄격하게 말해서, 이 줄들은 모든 Texinfo 파일을 TeX이 성공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하지만, 보통 시작 부분에는 인쇄된 매뉴얼의 제목을 정하는 @settitle 명령, @etchapternewpage 명령, 표지, 저작권 페이지, 그리고 퍼미션(permission) 페이지가 있다. @bye 외에, 파일의 끝은 색인과 목차가 들어 있다. (물론 대부분의 매뉴얼은 본론을 설명하는 글이 있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8 Preparing to Use TeX

TeX은 입력 파일의 첫번째 줄에 ‘\input texinfo’ 명령을 써서 읽어들이는 ‘texinfo.tex’파일이 어디에 있는지 알아야 하ㄴ다. ‘texinfo.tex’ 파일은 TeX에게 어떻게 @-명령을 처리하는 지 알려준다; 이 파일은 모든 표준 GNU 배포판에 포함되어 있다.

보통, ‘texinfo.tex’ 파일은 GNU Emacs나 그 외의 GNU 소프트웨어가 설치될 때 TeX 매크로가 들어 있는 기본 디렉토리 (기본적으로 ‘/usr/local/share/texmf/tex/texinfo/texinfo.tex’) 밑에 들어가게 된다. 이런 경우 TeX은 이 파일을 찾아낼 것이고, 그 외에 특별히 할 일이 없다. 아니면, TeX을 실행할 때 ‘texinfo.tex’을 현재 디렉토리에 넣으면, TeX은 거기 있는 파일을 쓸 것이다.

또, ‘epsf.tex’ 파일이 다른 배포판에서 이미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texinfo.tex’이 있는 곳과 같은 곳에 ‘epsf.tex’을 설치해야 한다. 이 파일은 @image 명령을 쓸 때 필요하다 (see section Inserting Images).

옵션으로, ‘texinfo.cnf’ 파일을 추가로 만들어서 설치할 수도 잇다. 이 파일은 @setfilename 명령에서 TeX이 읽어들인다 (see section @setfilename). 이 파일에는 그 컴퓨터 시스템에 따라 써야 하는 어떤 명령이라도 쓰고 싶은 대로 넣을 수 있다. 그리고 이 명령들은 어떤 Texinfo 문서를 처리할 때라도 TeX이 읽어들인다. 예를 들어, ‘texinfo.cnf’에 ‘@afourpaper’ 라는 줄이 있으면 (see section Printing on A4 Paper), 모든 Texinfo 문서느 그 크기로 만들어 진다. ‘texinfo.cnf’에 넣을 것이 없다면, 이 파일을 만들 필요가 없다.

만약에 위에서 말한 시스템 파일의 위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디렉토리를 직접 지정할 수 있다. ‘texinfo.tex’에 대해, \input 명령 다음에 완전한 경로(path)를 적어 주면 된다. 또 다른 방법으로, ‘texinfo.tex’과 ‘texinfo.cnf’의 경우에 적용되는 것으로 (그리고 TeX이 읽어 들이는 어떤 파일이든지), TEXINFO 환경 변수를 ‘.cshrc’나 ‘.profile’ 파일에서 지정하면 된다.

.cshrc’를 쓸 것인가 ‘.profile’을 쓸 것인가는 Bourne 셸 호환을 (sh, bash, ksh, …) 쓰느냐 아니면 C 셸 호환을 (csh, tcsh) 쓰느냐에 달렸다. 후자는 ‘.cshrc’ 파일을 초기 정보로 읽어 들이고, 전자는 ‘.profile’을 읽는다.

.cshrc’ 파일 안에, 다음 csh 명령을 쓸 수 있다:

 
setenv TEXINPUTS .:/home/me/mylib:/usr/lib/tex/macros

.profile’ 파일에서 다음 sh 명령을 쓸 수 있다:

 
TEXINPUTS=.:/home/me/mylib:/usr/lib/tex/macros
export TEXINPUTS

이렇게 하면 TeX이 일단 처음에 ‘.’로 표시되는 현재 디렉토리에서 ‘\input’ 파일을 ㅊ자고, 그 다음에 가상의 ‘me/mylib’ 디렉토리를 찾고, 마지막으로 시스템 디렉토리를 찾는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9 Overfull “hboxes”

TeX은 가끔 오른쪽 공백으로 줄을 내보내지 않고는 어떤 줄을 타입셋(typeset)할 수 없다. 이런 경우는 TeX이 하이픈으로 나눌(hyphenate) 수 없는 긴 단어로 해석되는 것을 만났을 때 발생한다. 예를 들어 전자 메일 주소나, 매우 긴 제목이 그렇다. 이런 경우가 일어나면, TeX은 다음과 같은 애러 메세지를 낸다:

 
Overfull \hbox (20.76302pt too wide)

(TeX에서, 줄은 “horizontal box”안에 있고, “hbox”라는 용어를 쓴다. 백슬래쉬, ‘\’는 TeX에서 ‘@’같은 역할을 한다.)

TeX은 이런 일이 일어난 Texinfo 파일의 줄 번호와 그 줄의 그ㄹ을 보여주고, 하이픈으로 나눌 수 있는 모든 위치를 표시한다. 타입세팅(typesetting) 애러에 관한 더 많은 정보는, See section Catching Errors with TeX Formatting.

Texinfo 파일에 overfull hbox가 있으면 overfull hbox가 발생하지 않도록 문장을 다시 쓰거나, 그대로 남겨 둘 수도 있다. 오른쪽 공백으로 약간 튀어 나오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고, 표시조차 나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그대로 남겨두었을 때, TeX은 크고 못생긴 검정색 사각형을 overfull hbox가 있는 줄의 옆에 인쇄한다. 이것은 문제가 생긴 위치를 알려서 이 시험버전의 문서를 고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런 괴상한 것을 최종 인쇄버전에서 안 나오게 하려면, 다음을 Texinfo 파일이 시작할 때 @titlepage 명령 앞에 한 줄에 단독으로 쓴다.

 
@finalout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10 Printing “Small” Books

기본적으로, TeX은 쪽을 가로 8.5인치, 세로 11인치 형식으로 인쇄한다. 하지만, 다음 명령을 Texinfo 파일이 시작할 때 표지가 시작하기 전에 한 줄에 단독으로 써서 TeX이 가로 7인치, 세로 9인치 형식으로 인쇄해서 제본하기 적합한 책으로 인쇄하도록 할 수 있다.

 
@smallbook

(보통 크기의 책은 가로 7인치, 세로 9.25인치이기 때문에, 이 명령은 @regularbooksize 명령이라고 하는 편이 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가로 8.5인치, 세로 11인치 형식에 비교해서 smallbook이라고 불리우게 되었다.)

@smallbook 명령을 start-of-header와 end-of-header 줄 사이에 쓰면, Texinfo 모드의 리전(region) 포매팅 명령인 texinfo-tex-region은 리전(region)을 “small” book 크기로 포맷한다 (see section Start of Header).

Free Software Foundation은 The GNU Emacs Manual의 인쇄된 카피와 그 외의 매뉴얼들을 “small” book 크기로 배포한다. 더 작은 매뉴얼에서 예제를 만들어 내는 더 쉬운 명령어에 대해서는 See section @smallexample and @smalllisp.

이 대신에, 문서 안에 물리적인 종이 크기를 포함하고 싶지 않으면, texi2dvi를 써서 문서를 포맷하고 (see section Format using texi2dvi), ‘-t @samllbook’을 인자로 쓴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은 다른 모양으로 포맷하기 위해서 문서 소스 파일을 바꿀 필요가 없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11 Printing on A4 Paper

@afourpaper 명령을 쓰면 TeX이 유럽식 A4 종이에 인쇄하도록 타입셋(typeset)하게 할 수 있다. Texinfo 파일의 앞 부분에 표지가 나오기 전에, @iftex@end iftex 사이에 한줄에 단독으로 @afourpaper 명령을 쓴다:

예를 들어, 이 매뉴얼의 앞부분에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input texinfo    @c -*-texinfo-*-
@c %**start of header
@setfilename texinfo
@settitle Texinfo
@syncodeindex vr fn
@iftex
@afourpaper
@end iftex
@c %**end of header

이 대신에, 문서 안에 물리적인 종이 크기를 포함하고 싶지 않으면, texi2dvi를 써서 문서를 포맷하고 (see section Format using texi2dvi), ‘-t @afourpaper’을 인자로 쓴다. 그러면 다른 사람들은 다른 모양으로 포맷하기 위해서 문서 소스 파일을 바꿀 필요가 없다.


[ < ] [ > ]   [ << ] [ Up ] [ >> ]         [Top] [Contents] [Index] [ ? ]

19.12 Cropmarks and Magnification

@cropmarks 명령을 써서 TeX이 쪽의 귀퉁이에 책의 여백을 잘라내는 표시(cropmark)를 하도록 할 수 있다. @cropmarks 명령을 다음과 같이 Texinfo 파일의 시작 부분에, 표지 앞에 @iftex@end iftex 사이에 한줄에 단독으로 쓴다:

 
@iftex
@cropmarks
@end iftex

이 명령은 주로 여러장의 쪽을 한개의 필름에 인쇄하는 프린터를 위한 명령이다; 하지만, 이 명령은 @smallbook 명령으로 가로 7인치, 세로 9.25 인치로 지정된 책의 구석을 표시하는 데만 쓸 수 있다. (보통 크기의 종이에 인쇄하는 보통 크기의 출력에서는 여백을 자르는 표시(cropmark)를 표시하지 않는다.) 여러가지 인쇄장치가 여러가지 방법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이 명령은 모험을 한다는 생각으로 사용해 봐야 한다. ‘texinfo.tex’ 정의 파일의 이 명령을 다시 정의해야 할 지도 모른다.

\mag TeX 명령을 쓰면 TeX이 보통보다 더 크거나 더 작은 페이지를 타입셋(typeset)하도록 할 수 있다. 타입셋(typeset)되는 모든 것은 더 크거나 더 작은 비율로 조정된다. (\mag은 “배율(magnification)”을 뜻한다.) 이것은 Texinfo @-명령이 아니고, 백슬래쉬(backslash)로 시작하는 plain TeX 명령이다. 이 명령은 @tex@end tex 사이에 써야 한다 (see section Raw Formatter Commands).

\mag 명령 다음에 ‘=’를 쓰고, 그 다음에 지정하고 싶은 배율의 1000배의 숫자를 쓴다. 예를 들어, 보통 크기의 1.2배로 페이지를 인쇄하려면, Texinfo 파일의 시작부분에 표지가 시작하기 전에 다음을 쓴다:

 
@tex
\mag=1200
@end tex

몇가지 인쇄 테크닉으로, 보통보다 더 잘 보이는 보통-크기의 카피를 보통보다 크게 만드는 방법을 써서 인쇄할 수 있다.

시스템에 따라서, \mag는 동작하지 않거나, 특정한 배율에서만 동작할 수도 있다. 실험해 본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 << ] [ >> ]           [Top] [Contents] [Index] [ ? ]

This document was generated by Autobuild on February 7, 2019 using texi2html 1.82.